“중국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이 4000개가 넘는다. 그 수만으로도 인력의 깊이와 시장의 폭을 가늠하기 어렵다.”

김형준(서울대 명예교수)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단장은 4월 15일 인터뷰에서 “중국은 딥시크(DeepSeek·深度求索) 등 자체 거대 언어 모델(LLM)을 개발하며 오픈AI조차 놀라게 할 만큼 AI 분야에서 한국을 앞섰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소장,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국내 대표 반도체 소자·공정 전문가다. 그가 이끄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사업은 AI 연산에 특화된 반도체 설계, 핵심 기술, 미세 공정 개발을 목표로 2020~2029년 총 1조96억원이 투입되는 국책 사업이다. 10년 만에 재개된 조(兆) 단위 반도체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김 단장은 “레거시 반도체 분야에서도 중국은 고비용 구조에도 불구하고 정부 보조금에 기반해 자국 내 반도체 자급을 밀어붙이며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며 “시장 논리가 통하지 않는 중국식 정책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 구조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한국과 중국의 기술 격차가 D램은 2~3년, 낸드 플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