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5년 4월 8일 촬영된 이 사진에서 진 사라센(중앙)은 조지아주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린 오거스
타 내셔널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 후 1500달러 수표를 받고 있다. /AP연합
1935년 4월 8일 촬영된 이 사진에서 진 사라센(중앙)은 조지아주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린 오거스 타 내셔널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 후 1500달러 수표를 받고 있다. /AP연합

1934년 마스터스가 출범하면서 US오픈, 디오픈챔피언십, PGA챔피언십 등 프로골프 4대 메이저 대회 시스템이 시작됐다.

1930년 보비 존스가 US오픈과 디오픈, 아마추어 대회인 US아마추어챔피언십과 브리티시아마추어챔피언십 등 당시 4대 메이저 대회를 한 해에 석권하는 전무후무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이를 골프에서는 오리지널 그랜드슬램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첫 커리어 그랜드슬램은 마스터스 출범 이후로 꼽으며 이를 처음 이룬 골퍼는 1935년 진 사라센(미국)이다. 이후 1953년 벤 호건(미국), 1965년 게리 플레이어(남아공), 1966년 잭 니클라우스(미국), 2000년 타이거 우즈(미국) 그리고 2025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까지 불과 여섯 명만 이 꿈을 이뤘다.

왜 커리어 그랜드슬램은 이루기 어려울까. 메이저 대회는 대회마다 특징이 뚜렷하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리는 마스터스는 유리알 그린을 정복할 예리한 아이언 샷과 퍼팅 능력을 갖춰야 한다. US오픈은 긴 전장, 좁은 페어웨이와 깊은 러프, 빠른 그린 등 고난도 코스 종합 세트다. 영국 링크스 코스에서 열리는 디오픈은 변화무쌍한 바람과 날씨에 순발력 있게 적응..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