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은 탄도미사일 개발 등 군사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 조달 수단으로 암호화폐 해킹을 활용한다. 암호화폐 해킹으로부터 자유로운 나라는 없다. 한국도 마찬가지라는 점을 인지하고 대비해야 한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의 앤드루 피어맨 국가안보정보 총괄은 최근 서면 인터뷰에서 지난 2월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탈취 사건의 범인으로 지목된 북한의 해킹 집단 라자루스를 언급하며 “한국도 안전 지역이 아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라자루스는 두바이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를 공격해 14억6000만달러(약 2조700억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훔쳤다.
2024년 암호화폐 업계 전체 해킹 피해 금액은 약 22억달러(약 3조1340억원)에 달한다. 이 중 라자루스가 탈취한 금액이 61%에 달한다. 2016년 체이널리시스가 집계를 시작한 이래 북한 일당의 소행은 더 다양하고 정교한 수법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 지갑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이 해킹에 취약하다거나 주로 불법 활동에 사용된다는 건 오해다. 새로운 기술이 주목받을 때면 언제나 이를 악용하기 위한 세력이 있었다. 국경 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은 유동성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