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9일 열린 제1회 안동국제증류주포럼에서 참가자가 시음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조선비즈
2024년 11월 9일 열린 제1회 안동국제증류주포럼에서 참가자가 시음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조선비즈

2024년 11월 8일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안동소주’를 주제로 한 첫 국제 행사가 열렸다. 사단법인 안동소주협회와 조선비즈가 함께 주최·주관한 ‘제1회 안동 국제 증류주 포럼’ 이었다. 안동소주는 대중적으로 많이 마시는 희석식 소주와 달리 750년 전부터 안동 지역 양반가에서 직접 빚어 만들어 먹는 증류식 소주다. 이 때문에 안동소주는 역사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그 만드는 비법이 경북 무형문화재로 지정됐을 정도다.

서양 술인 와인이나 위스키처럼 안동소주도 하나의 술 카테고리로 여겨진다. 이 안동소주를 만드는 회사가 안동에만 아홉 곳이나 있다. 이날 열린 포럼에서는 안동소주의세계화는 물론, 현대화를 위한 다양한 제언이 쏟아졌다. 그 가운데 이승주 세종대 외식경영학과 교수의 이야기가 관심을 모았다.

이 교수는 증류식 소주에서 나는 특유의향을 68개 단어로 정리해 공개했다. 이 교수는 “술맛과 향에 대한 과학적인 분류 체계를 만드는 작업이 곧 가치를 높이는 길”이라며 “술은 단순히 취하기 위해 마시는 것뿐 아니라, 맛과 향을 즐기려는 목적도 있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느낀 감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정리할 수 있는 용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五感..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