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4월 10일 서울 강남구 한 빌딩에 ‘임대’ 문구가 붙어있다. 부동산플래닛이 발표한 2월 서울 오피스 임대 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빌딩의 평균 공실률은 3.06%로, 전월(2.83%)보다 0.23%포인트 오른 것은 물론 전년 동기(2.27%) 대비 0.79%포인트 상승했다. /사진 연합뉴스
DL그룹이 서대문에서 마곡으로, HDC현대산업개발이 용산에서 광운대역으로, SK에코플랜트가 종로에서 양평동으로, 11번가가 서울역에서 광명으로, 세븐일레븐이 을지로에서 강동구로, 하나금융그룹이 을지로에서 청라로….
최근 대기업의 사옥 이전 소식이 잇따른다. 눈길을 끄는 점은 이들이 서울 도심을 떠나 서울 외곽 지역이나 수도권 지역으로 이전한다는 사실이다. 이들의 도심 탈출이 무슨 연유인지 궁금증이 생긴다. 혹시 이러한 추세가 트렌드가 되고, 오피스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도 있지 않을까.
대기업은 왜 도심을 떠나는가
2020년대 들어 변화된 오피스 시장을 돌아보자면,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의한 임대료 상승이 있었고, 재택근무와 원격 근무 등 일하는 방식의 인식 전환도 있었다. 여기에 인플레이션을 저지하기 위한 고금리 통화정책과 이로 인한 경기 침체 그리고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등 불확실한 국내외 정세가 계속 펼쳐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도심과 헤어질 결심을 하는 대기업은 늘어나고 있다.
대기업의 도심 탈출 첫 번째 이유는..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