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하 트럼프)이 추진하는 대규모 감세 정책이 시행을 앞두고 있다. 4월 10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하원은 트럼프 정부의 감세 청사진을 담은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향후 10년간 최대 5조3000억달러(약 7600조원) 감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민주당 의원 전원이 반대표를 던졌지만, 과반 의석을 차지한 공화당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법안이 통과됐다. 트럼프는 하원 가결 직후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중요한 정책 중 하나를 위한 무대가 마련됐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노벨 경제상 수상자인 필자는 최근 트럼프의 행보가 특정 계층의 부와 권력을 지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지적한다. 그중 하나가 이번에 트럼프가 추진하는 감세안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트럼프가 ① 해외부패방지법(FCPA·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집행을 막고 암호화폐 규제 완화로 탈세까지 부추기면서 미국이 불법 자금과 탈세 자금이 몰려드는 안전한 은신처, 즉 ‘조세 피난처’로 탈바꿈하고 있다는 게 필자의 분석이다. 특히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전쟁으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경기 침체를 동반한 물가 상승) 우려까지 커지는 지금, 미국 경제 전반에 총체적 위기가 올 수도 있다고 봤다. 문제는 미국이 국제 협력을 외면하는 신고립주의를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필자는 전 세계가 다자 협력을 이어가는 가운데, 미국만 혼자 따로 움직이는 ‘G1 체제’로 향하고 있다고 꼬집는다.

트럼프는 미국을 역사상 가장 거대한 조세 피난처로 빠르게 탈바꿈시키고 있다. 이는 몇 가지 사례만 살펴봐도 알 수 있다. 재무부는 기업 실소유자의 신원을 공유하는 투명성 체제에서 탈퇴를 명령했고, 유엔(UN) 국제 조세 협력 프레임워크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에서도 철수했다. FCPA 집행도 거부하고 있으며, 암호화폐에 대한 대규모 규제 완화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국이 250년에 걸쳐 구축한 제도적 안전장치를 약화하려는 더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트럼프 정부는 국제조약을 위반하고, 이해 충돌을 무시했으며,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해체하고, 의회가 승인한 자금마저 가로챘다. 이 정부는 정책을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법치주의를 짓밟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가 좋아하는 세금이 하나 있기는 하다. 바로 수입관세다. 그는 외국인이 그 비용을 부담한다고 믿는 듯하다. 또 이를 통해 억만장자의 세금을 감면할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여기에 그는 관세가 무역 적자를 없애고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릴 것이라고 믿는 듯하다. 그러나 관세는 수입업자가 부담하게 돼 국내 물가를 끌어올리고, 미국이 마침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국면에서 벗어나려는 지금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