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민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 - 도쿄대학원 경제학 석·박사, 전 도쿄공업대학 조교수 /사진 이용성 기자
이창민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 - 도쿄대학원 경제학 석·박사, 전 도쿄공업대학 조교수 /사진 이용성 기자

“기술이 무기화되고 공급망이 지정학적으로 재편되는 경제 안보 시대 속 한국과 일본 모두 전략적 독립성을 중시하게 됐지만, 한일 간 협력 가능성은 닫혀 있지 않다.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산업 질서와 사회적 공통 과제를 중심으로 한 협력 모델을 모색할 적기다.”

이창민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는 4월 25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교수는 일본 도쿄대에서 경제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쿄공업대 조교수를 거쳐 한국외국어대 교수로 자리 잡았다. 그는 ‘아베노믹스와 저온호황’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공저)’ 등의 책을 쓰는 등 일본 정치· 경제 전문가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한일 양국 모두 지정학적 긴장과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등으로 경제구조 취약성과 불확실성을 안고 있어 ‘경제 돌파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본은 향후 우리나라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지속할 수 있을까. 다음은 일문일답.

최근 한국과 일본의 경제 상황을 진단해 달라.

“2024년 이후 한국과 일본 모두 경제구조의 취약성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한국은 성장률 둔화 속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가계 소비 회복 지연, 산업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