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을 준비하면서 대학생이나 대학원생과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들 이공계가 아니라 의대를 가려고 하더라. 안정적이라는 점이 장점이라고 여기는 것 같다.
의대 열풍을 이기려면 이공계에서 창업해서 성공한 사례를 많이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임지순 울산대 반도체학과 석좌교수는 탄소나노튜브 연구로 세계적인 석학의 반열에 오른 물리학자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가 벌집처럼 육각형으로 연결돼 다발을 이룬 물질로,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강도가 강한 신소재다. 임 교수는 탄소나노튜브를 다발로 묶으면 금속 성질이 없어지면서 반도체 성질을 띤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임 교수는 천재의 삶을 살았다. 경기고 수석 졸업, 대입 예비고사 전국 1등, 서울대 본고사 전체 수석을 차지했다. 40대에 서울대 석좌교수가 됐고, 2011년에는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미국과학학술원(NAS) 외국인 종신회원이 됐다. 한국에서 과학자가 받을 수 있는 상도 거의 다 받았다. 1996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1998년 올해의 과학자상, 2004년 인촌상, 2007년 청암상, 2024년 삼성호암상까지 받았다. 임 교수는 서울대 정년을 앞두고 2016년 포항공대(포스텍)로 자리를 옮겼다가 지난해 다시 울산대로 이동했다.
지난 4월 중순 서울 관악구 서울대 캠퍼스에서 만난 임 교수는 자신의 새 명함을 건넸다. 서울대와 포스텍, 울산대를 거치면서도 교수 명함은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었다. 연락처가 필요하다고 말하면 메모..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