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파티가 돌아왔다. 하반기부터는 국내 증시에 유동성이 본격적으로 공급된다. 변동성이 커질 대로 커진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는 어떻게 길을 찾을 것인가. 시장이 장기적 상승세를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자금 유입이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면, 투자의 지름길이 보일 것이다.”
2월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뉴스1
2월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뉴스1

“Ready to party(파티를 즐길 준비가 됐나)?” 유동성 파티가 돌아왔다. 하반기부터는 국내 증시에 유동성이 본격적으로 공급된다. 변동성이 커질 대로 커진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는 어떻게 길을 찾을 것인가. 이미 시장 기대감은 매우 높아져 있다. 그저 유동성이 많으니, 증시가 오른다 내린다에 동전 던지기를 하듯 베팅하며 도박하는 것은 투자자가 원하는 길이 아닐 것이다. 시장이 장기적 상승세를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자금 유입이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게 얼마나 탄탄할지, 얼마나 지속 가능할지를 미리 살펴본다면, 투자의 지름길이 보일 것이다.

금리 인하 기대감에 모험 자본 투자 확대 전망

우선 금융위원회가 증시 부양에 팔을 걷어붙였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의 발행 어음 인가를 기존 5개 사에서 추가 확대하기로 했다. 주목할 대목은 모험 자본 투자 비중을 10%에서 25%까지 의무화하기로 한 것이다. 발행 어음은 종투사 자체 신용으로 발행하는 만기 1년 이내 어음으로,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자기자본이 4조원이 넘는 초대형 IB 증권사만 발행 인가를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인가가 확대되면 이제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