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설명│ 최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글로벌 금융시장이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 ① 예컨대 미국 국채 가격은 이스라엘·이란 전쟁 속 큰 폭의 변동성을 보였다. 6월 23일(이하 현지시각) 이란이 카타르 미군 기지를 공격하자 안전 자산(헤지 수단) 선호에 힘입어 국채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이란 간 휴전을 발표하면서 다시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이처럼 불과 하루 사이에도 전쟁과 휴전 등 예측하지 못한 일이 발생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그간 견고했던 ‘채권 수익률 상승→달러 강세’라는 원칙도 무너지면서, 금리·환율·자산 시장의 전통적인 메커니즘(기존 작동 원리)도 흔들리고 있다. 주식 자산 비중이 과도하게 높은 미국 가계는 금융시장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투자자와 기업은 자산 전략을 재조정해야 한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 고금리 시대 고착,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불안,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미국 신용 등급 강등, 공공 시장이 아닌 사모 신용 시장(private credit)이 팽창하면서 보이지 않는 부채와 금융 시스템 리스크 증가, 미국 재정에 대한 신뢰 약화 등이 기업 전략과 투자자 자본 배분 방식에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 글로벌 자본 흐름과 통화정책, 시장 심리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금융 질서가 형성될 가능성도 커졌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지속 가능한 성과를 추구하는 기업과 투자자는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인 구조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필자는 미국 재정 상황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면서, 중국보다 미국 국채 보험 비용이 더 비싼 이례적인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사모 신용 시장, 과도한 미국 국민의 주식 의존도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향후 새로운 금융 질서가 형성될 가능성에 대비해 포트폴리오·자본 배분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할 것을 권고한다.
/셔터스톡
/셔터스톡

최근 글로벌 국채 금리 변동은 전 세계 기업가와 투자자에게 ‘금리가 더 오르기 전에 부채를 고정해야 하는가’라는 중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동시에 자본 비용 상승과 시장의 지속적인 변동은 투자 포트폴리오 전반을 재점검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한 달도 되지 않은 사이에 50bp(1bp=0.01%포인트)가 상승해 4.5%를 기록했고, 30년물 수익률도 5월 한 달 동안 30bp 상승하며 5%에 근접했다. 

단기적 시장 흐름을 넘어, 장기적으로 세계경제를 재편할 수 있는 다섯 가지 구조적 변화가 이미 시작됐다. 이 같은 변화는 기업 전략을 흔들고 투자 수익을 갉아먹으며, 장기 성장 전망마저 위태롭게 할 수 있다. 

담비사 모요  국제경제학자 - 하버드대 행정학 석사,  스탠퍼드대 경제학 박사,  전 세계은행 컨설턴트,  전 골드만삭스 전략가
담비사 모요 국제경제학자 - 하버드대 행정학 석사, 스탠퍼드대 경제학 박사, 전 세계은행 컨설턴트, 전 골드만삭스 전략가

美 재정 운용, 이미 지속 불가능한 수준

첫째, 미국의 재정 건전성 악화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이 최근 발표한 장기 예산 전망에 따르면,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올해 4.1%, 2035년에 3.8%일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5%를 넘나들고 있고,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미국 연방 정부의 재정 적자는..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