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의 인공지능(AI) 전환 속도는 매우 늦다. AI는 학습이 중요하므로 얼리 무버의 이점이 크고, 패스트 팔로어 전략이 통하지 않는다. 리더가 대담하게 톱다운(top-down)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최원표 베인앤드컴퍼니 서울오피스 대표는 최근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최 대표는 세계 3대 컨설팅 기업으로 꼽히는 베인앤드컴퍼니 서울오피스를 이끌고 있다. 베인앤드컴퍼니 인수합병(M&A) 부문과 프라이빗 에퀴티(Private Equity) 부문 리더로, 인수 후 포트폴리오 회사 가치 증대 및 매각과 관련한 풍부한 프로젝트 경험이 있다. 국내외 금융기관, 대기업, 다국적기업의 전사 전략과 성과 극대화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한 경영 전문가다. 다음은 일문일답.

AI 시대 리더십은 무엇이 다른가.
“AI를 막 도입하는 시기, AI를 도입한 이후 시기에 필요한 리더십이 각각 다르다. 도입 시기에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 리더 성향은 크게 오퍼레이터(operator·운영자)형과 전략가형으로 나뉘는데, AI 도입 시기에는 강력한 전략가형 리더십이 필요하다.
AI는 사람이 생각하고 일하는 방식, 사람의 근본..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