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현지시각)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하며 관세 부과를 선언하면서 글로벌 교역의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2025년 상반기 한국 수출은 선방했다. 1~6월 수출액은 334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03% 감소하는 데 그쳐 사실상 보합세를 유지했다. 올 상반기 수출은 월평균 558억달러, 일평균 25억6000만달러로 각각 역대 3위, 2위에 올랐다. 반면 수입은 3069억달러로 1.6% 줄면서, 무역수지 흑자는 278억달러로 2018년 이후 최대치를 나타냈다. 수출 선방을 견인한 것은 반도체였다. 상반기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733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겉보기엔 2024년 이후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듯하지만, 수출구조에는 변화의 조짐이 뚜렷하다.

2003년 이후 줄곧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 비중이 빠르게 줄어들며, ‘탈(脫)중국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용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주문형 반도체(ASIC) 중심으로 반도체 시장이 재편되면서, 대만이 한국의 주요 반도체 수출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선박, 바이오·헬스 등 고부가가치 품목 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