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중국인 부유층 등 외국인 투자자가 선호하는 도쿄 지역. 
(우) 도쿄와 함께 외국인 투자자가 선호하는 오사카. / 사진 최인한 소장
(좌) 중국인 부유층 등 외국인 투자자가 선호하는 도쿄 지역.
(우) 도쿄와 함께 외국인 투자자가 선호하는 오사카. / 사진 최인한 소장

지난 6월 말 도쿄 등 수도권을 다니면서 곳곳에서 물가 상승을 실감했다. 정치 이슈로 확산된 쌀값은 물론 음식값, 숙박료, 기름값 등 모든 소비자가격이 지난해와 비교해 큰 폭으로 뛰었다. 물가와 함께 임금도 오르며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에서 탈출해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는 경제 전문가의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실제 도쿄, 오사카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은 2023년부터 급등세를 타며 1990년 버블 경제 당시보다 더 오른 곳이 많다. 세계 각국이 금리를 인하하면서 돈의 가치가 떨어진 상황에서 국내외 투자자가 일본 부동산 시장에 몰려들어 가격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일본 부동산 가격이 왜 오르는지, 어디까지 오를 것인지 일본 현지 분위기를 소개한다. 저성장과 초고령사회에서 20여 년 격차를 두고 일본을 따라가는 양상을 보이는 한국 부동산 시장에도 시사점이 적지 않아 보인다.

최인한 시사일본연구소 소장 - 일본 전문 저널리스트,
현 숙명여대 미래교육원 강사,
전 일본 유통과학대학 객원교수, ‘일본에 대한 새로운 생각’ 저자
최인한 시사일본연구소 소장 - 일본 전문 저널리스트, 현 숙명여대 미래교육원 강사, 전 일본 유통과학대학 객원교수, ‘일본에 대한 새로운 생각’ 저자

도쿄 시내,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이유

온천 휴양지로 유명한 군마현 이카호온천과 아카기산 등을 걸으며 인구 감소 시대를 체감했다. 수도권 북쪽 군마현에서 사흘을 보낸 뒤 사이타마현을 거쳐 도쿄 시내로 들어오며 ‘도쿄 일극주의(一極主義)’를 생생히..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