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는 6월 2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5년 하반기 세계경제·국제금융시장 전망’ 설명회에서 “연율 기준으로 전기 대비 3% 수준이었던 1분기 세계 경제성장률이 하반기에 2%대로 둔화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고율 관세와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주요국 내수 부진이 주된 원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올해 글로벌 경제성장 전망은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후 급락했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올해 1월만 해도 세계 경제성장률을 평균 3.1%로 봤으나 6월에는 2.9%로 낮췄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월 3.3%에서 4월 2.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해 12월 3.3%에서 6월 2.9%로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여기에 중동 지정학 리스크가 심화하면서 추가 충격이 우려된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미국이 개입한 현재 중동 정세가 전면적인 갈등으로 번질 경우 원유 수입의존도가 높은 아시아·유럽 경제는 에너지 비용 상승과 공급 차질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경제 예측 기관인 S&P 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호르무즈해협과 홍해 등 주요 해상 운송 경로가 최소 2분기 이상 마비되고 국제 유가가 최대 30% 급등할 경우,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오는 3분기 1.7%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S&P 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는 무역과 투자 부문의 회복은 연말까지 지연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산업 생산과 소비 둔화, 고용 위축이라는 2차 충격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필자는 “미국의 관세와 이스라엘·이란 전쟁의 지정학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이중 충격은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고 진단했다.

중동에서 일어난 새로운 전쟁은 파괴적인 관세전쟁과 결합해 침체로 빠지고 있는 세계경제에 치명타를 날리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잠정 휴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 침체의 가능성이 급격히 커졌다.
최종적인 협상 결과가 어찌하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글로벌 성장에 하방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 첫 번째 충격만으로도 충분히 심각했다. 이스라엘·이란 전쟁에 미국을 휘말리게 한 두 번째 충격은 이미 취약해진 세계경제의 침체를 더욱 복합적으로 만들었다. 이런 상황은 내가 말한 ① ‘경기 순환적 위험 이론(theory of cyclical risk)’과 맞아떨어진다. 경제 성장률이 ② ‘실속 속도(stall speed)’에 가까워질 경우 아주 작은 충격만으로도 경기 침체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단순한 원칙은 지난 45년간 ‘세계 경기 침체’를 예측하는 데 매우 잘 들어맞았다. 개별 국가의 경기 침체는 일반적으로 실질 생산의 감소를 반영하는 반면, 세계적인 침체는 대개 전 세계 국가의 절반 정도가 수축하고 나머지는 여전히 성장하는 상황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세계 경기 침체는 전 세계 GDP 성장률이 2.0~2.5% 수준으로 둔화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