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셔터스톡
/ 사진 셔터스톡

뉴스를 보다 보면 문득 심장이 빨라지고 숨이 막힐 때가 있다. ‘인공지능(AI)의 도래로 인한 사회구조의 격변’ ‘인구 감소가 불러올 가까운 미래의 위기’ 같은 기사를 접하다 보면, 나는 어느새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 한가운데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게다가 ‘위기에서 살아남는 법’ ‘변화하는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법’ ‘경제적 생존 전략’ 등을 다룬 유튜브 영상과 기사를 접하고 한 번 클릭하는 순간 알고리즘을 통해 내 스마트폰과 노트북 화면에 이러한 콘텐츠로 도배가 될 때쯤이면, 세상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언제든 ‘새로운 나’로 갈아입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는 강박마저 들곤 한다. 지금 이 시대는 ‘자신다움’보다 ‘얼마나 빨리 반응하느냐’를 요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고전 음악을 연주하는 필자는 이 빠른 시대적 변화 앞에 종종 무력감을 느낄 때가 있다. 물론 오늘날 작곡된 새로운 작품을 연주할 때도 있지만, 라흐마니노프처럼 100년 전, 쇼팽처럼 200년 전, 바흐처럼 300년 전의 음악을 매일 마주하는 이 직업은 가끔은 ‘과거와 대화’이자, 변화하기 어려운 세계와의 만남이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안종도 연세대 피아노과 교수 - 독일 함부르크 국립음대 연주학 박사, 전 함부르크 국립음대 기악과 강사
안종도 연세대 피아노과 교수 - 독일 함부르크 국립음대 연주학 박사, 전 함부르크 국립음대 기악과 강사
물론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시대와 달리 오늘날 연주자는 종이 악보 대신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가발과 코스튬 대신 청바지에 운동화를 신고 무대에 오르기도 한다. 공연장에는 촛불 대신 LED 조명이 켜진다. 하지만 아무리 시대가 달라졌다고 해도, 바흐가 깃펜으로 꾹꾹 눌러쓴 음표를 오늘날의 트렌드 입맛에 맞춰 쉽게 바꾸기는 어렵다. ‘작곡가의 의도를 최대한 살린다’는 고전음악 연주의 속성 때문이다. 그렇다고 고전음악이 현대의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한 낡고 촌스러운 음악이라고 느끼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그 반대다. 시대를 초월한 감동이 여전히 살아 있고, 그 감동을 현대의 관객과 공유하는 순간, 음악가는 마치 시간을 뛰어넘어 수 세기를 살아내는 느낌을 받는다.

최근 바흐의 ‘건반 협주곡’을 협연하며 다시금 그의 악보를 마주했다. 먼지 한 톨 들어갈 공간조차 없는 듯한 치밀하게 짜인 음악적 구조에 감탄하면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며칠, 몇 주, 몇 달 동안 곱씹고 연구하며 서서히 파고들었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악보 위의 음표 너머로 바흐라는 한 인간이 입체적으로 다가오기 시작한다. 심지어 눈앞에 살아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매일 그와 교류하다 보니, 오히려 주변의 누군가보다도 더 자주, 더 깊이 만나는 사람처럼 느껴질 정도다. 그의 육신은 오래전 사라졌지만, 그의 정신은 여전히 살아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순간이다.

그는 ‘음악의 아버지’로 불릴 만큼 음악사에서 중요한 인물이지만, 음악사에 이름을 남긴 인물은 바흐만이 아니다. 수많은 작곡가가 존재하고, 음대의 박사과정 학생은 그 모든 이의 생애, 작품, 시대적 맥락을 시험대 위에서 줄줄 외워 발표해야 한다. 그런데 왜 유독 바흐만은 오늘날까지도 ‘아버지’로 불리며 특별한 존재로 살아 있는 것일까.

독일 라이프치히 토마스 교회 앞에 있는 요한 제바
스티안 바흐의 기념비. / 사진 셔터스톡
독일 라이프치히 토마스 교회 앞에 있는 요한 제바 스티안 바흐의 기념비. / 사진 셔터스톡

놀랍게도 그는 생전 대단한 명성을 누리지 못했다. 사후에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라는 그의 이름보다 오히려 그의 아들의 이름(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이 더 널리 알려졌을 정도다. 그의 음악은 너무 복잡하고 난해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1737년, 당시 음악평론가 요한 아돌프 샤이베는 이렇게 혹평했다.

“이 위대한 인물은 더 듣기 좋았더라면 더욱 감탄할 만했을 것이다. 그는 자연스러운 것을 인공적으로, 쾌적한 것을 과도하게 장식된 것으로, 명료한 것을 어둡게 바꾸었다. … 그의 음악은 연주자에게는 기쁨이겠지만, 청중의 귀는 쉽게 피로해진다.”

그를 옹호한 이도 있었지만, 당시 음악적 취향은 바흐와 달랐다. 프랑스는 우아한 무곡과 장식미를 추구했고, 이탈리아는 비발디식의 화려한 기악과 정열적인 오페라가 중심이었다. 당대의 인기 작곡가는 마차를 타고 유럽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명성을 쌓았지만, 바흐는 대부분의 생을 자신이 봉직한 교회와 학교, 가정 그리고 자기 책상 앞에서 보냈다. 그 역시 더 나은 직위와 삶을 원했을 것이다. 

함부르크나 뤼벡 등 대도시의 오르가니스트 직에 지원했지만 실패했고, 라이프치히 토마스 교회의 음악 감독 자리를 얻은 것도 몇몇 유력 지원자가 고사한 뒤에야 돌아온 기회였다.

하지만 그는 시대의 취향을 무작정 따르지 않았다. 유행을 알고 있었고 작품에 반영하기도 했지만, 그것을 자신의 언어로 새롭게 읽어내며 감각적이되 논리적이고 구조적인 음악을 만들었다. 그러한 질서와 내적 통일성이야말로, 훗날 고전주의의 뼈대가 되었고, 뒤이어 낭만주의 시대가 도래하자 세상은 그의 음악을 열렬히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었다. 바로 그때가 멘델스존이 ‘마태수난곡’을 재공연하며 바흐가 재림하는 순간이었다.

다시 칼럼 도입부의 주제로 돌아와서,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건 단순히 ‘바흐처럼 살자’ ‘세상의 변화에 맞서 묵묵히 살자’는 얘기가 아니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바흐의 시대와 다르고, 단정적으로 비교할 수 없다. 그러나 더 빨라지고, 더 실용적이고, 더 예측 불가능해지는 세상에서, 바흐의 음악을 마주할 때마다 나에게는 이런 질문이 떠오른다.

‘나라는 한 개인의 삶에서 변화해야 할 것은 무엇이며, 지켜야 할 것은 무엇일까.’

어쩌면 바흐의 음악은 너무 쉽게 휩쓸리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현명한 답을 찾게 해주는 존재일지도 모른다. 빠르게 반응하는 대신, 깊이 있게 사유하고, 무엇이 될까에 앞서 누구인가를 묻는 것. 흐름을 따르기보다, 흐름을 나만의 리듬으로 통과하는 것. 그가 그렇게 300년을 넘게 살아남았듯, 우리도 적어도 정신적으로는 그런 영원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안종도 연세대 피아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