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와 산업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은 한국에서도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하다. 한국 대학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외 석학의 적극적인 영입이 필요하다. 중국의 대규모 해외 인재 유치 프로젝트인 천인계획처럼 국가 차원의 글로벌 인재 유치 전략이 있어야 한다.”
이우근 중국 칭화대 교수 - 서울대 전자공학, 미 UCLA 전기공학 석사, 일리노이주립대 전기공학 박사, 현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펠로(석학회원), 전 커넥선트 시스템 수석 엔지니어, 전 IBM 왓슨연구소 연구원, 전 재중한인과학기술자협회 초대 부회장·2대 회장
이우근 중국 칭화대 교수 - 서울대 전자공학, 미 UCLA 전기공학 석사, 일리노이주립대 전기공학 박사, 현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펠로(석학회원), 전 커넥선트 시스템 수석 엔지니어, 전 IBM 왓슨연구소 연구원, 전 재중한인과학기술자협회 초대 부회장·2대 회장

“한국에서 반도체를 의미 있게 키우고 싶다. 저전력 AI(인공지능) 반도체, 통신 분야에 집중하겠다.”

34년간 미국과 중국에서 대학과 산업 현장을 넘나들며 활동해 온 반도체·IT(정보기술) 전문가인 이우근 중국 칭화대 집적회로학원 교수가 오는 8월 성균관대 반도체융합공학과 교수로 부임한다. 이 교수는 최근 서면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모든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더 많은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 교수는 반도체 집적회로(IC)와 시스템반도체 설계 분야를 대표하는 세계적 연구자다.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논문 180편 이상을 발표했으며 미국 특허 24건을 보유하고 있다. 반도체 집적회로 분야는 전자소자와 회로를 미세한 칩 위에 집적해 고성능·저전력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다. 시스템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이 교수는 1991년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으로 유학해 미국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에서 석사, 일리노이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커넥선트 시스템(Conexant Systems) 수석 엔지니어와 IBM 왓슨..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