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 권력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최고 부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협업을 통해 대선에서 이겼지만 지금은 관계가 파탄이 났다. 서로 비난하는 수준을 넘어 맞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는 그동안 머스크의 스페이스X나 테슬라에 많은 국가적 지원이 있었지만, 이를 끊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머스크는 아예 ‘아메리카당’이라는 정당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정치에 뛰어들겠다고 대들고 있다. 

두 거인의 협업이 깨지자 피해도 커지고 있다. 머스크는 테슬라의 주가 하락으로 큰 손실을 봤고, 우주 및 인공지능(AI) 사업 등에서 정부와 마찰을 겪게 될 전망이다. 트럼프 또한 리더십 손상 등 정치적 타격을 받았다. 강자끼리 협업은 장점도 크지만, 단점도 클 수밖에 없다.

두 강자의 협업이 깨진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전략적 목표와 비전이 일치하지 않았다. 트럼프는 선거에서 승리하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넓히는 게 목표였고, 머스크는 자신의 기업을 지키고 성장시키는 게 목표였다. 전략적 목표가 일치하지 않는 협업은 쉽게 무너지게 된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
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뉴스1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 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뉴스1

또 한 가지는 심리적 요인이다. 조직과 조직의 협업이라 해도 결국 최고 책임자끼리 협업을 결정하고 주도하게 된다. 강자는 자신이 주도권을 쥐려는 속성이 강하다. 자기가 주인공이 되고 스타가 되려는 욕망이 있다. 따라서 강자끼리 만나면 권력투쟁이 발생하기 쉽다. 최고 권력자인 트럼프와 세계 최고 부자인 머스크는 결코 이인자에 만족하지 못하는 체질이다. 이들이 한 무대에 오르니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

강자끼리 협업하려면 장단점을 잘 살피고 세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좋은 점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초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강자끼리 협업은 단순한 보완이 아니라 강점끼리의 융합이기 때문에 단순 시너지가 아니라 ‘메가 시너지’가 나오게 된다. ‘더하기(+)’ 성과가 아니라 ‘곱하기(×)’ 성과가 나온다. 둘째, 대규모 사업, 사회 인프라 사업, 글로벌 전략 사업 등은 강자와 약자의 협업이 아니라 강자끼리 협업해야 성과가 나오게 된다.

디즈니는 전통적 애니메이션의 강자였고 픽사는 컴퓨터 그래픽 기반 3D 애니메이션의 선두 주자였다. 두 기업은 서로 다른 강점을 기반으로 협업 체계를 갖췄고,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를 시작으로 수많은 히트작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저작권, 수익 배분 등을 놓고 심각한 갈등이 생겼다. 당시 픽사의 대표였던 스티브 잡스와 디즈니 대표였던 밥 아이거는 ‘아이들을 감동하게 하는 이야기’ 라는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디즈니가 픽사를 인수해 협업을 제도화했다. 비전을 공유하고 픽사의 창의성과 독립성을 보장해 성과를 창출했다.

강자끼리 협업할 때 유의할 사항은 무엇일까. 첫째, 공동의 목표와 비전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서로 강점은 다르지만, 추구하는 목표와 비전 방향은 동일하다는 것을 확실히 설정하고 인식해야 한다. 둘째, 서로 다른 역할을 정하고 상호 존중해야 한다. 협업은 같은 기능을 합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기능을 연결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다. 역할 분담을 하고 존중해야 한다. 셋째, 실패 시 리스크를 미리 공유해야 한다. 강자끼리 협업은 실패 시 대형 사고로 연결되기 쉽다. 이 또한 분담이 불가피하다. 기대되는 초성과만 공유할 게 아니라 발생할 수 있는 초리스크도 공유해야 책임감이 생기게 된다. 넷째, 신뢰 유지가 중요하다. 상대방의 경영 철학, 기업 문화, 평판 등을 면밀히 체크해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신뢰도가 떨어지면 다른 강점이 있어도 협업은 위기에 빠지게 된다. 신뢰 자본은 사람·자금보다 소중한 경영 자원이다.

인류 역사상 정치나 비즈니스 세계에서 강자끼리 협업은 성공보다 실패가 많았다. 초기에 성과를 내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배신하기도 하고, 경쟁 관계로 돌변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강자끼리 협업을 부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다. 위대한 성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더 정밀한 협업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기술적·재무적·기능적 강점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철학·가치관·문화·평판까지도 함께 고려해야 성공할 수 있다. 

윤은기 한국협업발전포럼 회장-현 멘토지도자협의회 회장,
현 AI미래융합지도사
전 중앙공무원교육원 원장,
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윤은기 한국협업발전포럼 회장-현 멘토지도자협의회 회장, 현 AI미래융합지도사 전 중앙공무원교육원 원장, 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윤은기 한국협업발전포럼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