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설명│ 중국이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직면했다. 중국전문가포럼(CSF)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합계 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0명으로 조사됐다. 인구 대체 수준인 2.1명과 국제 경고선인 1.5명을 모두 밑돌았다. 1950년만해도 5.8명이었다. 지난 70년 간 한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감소 폭(4.8명)을 보인 것이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중국 가임 여성의 평균 희망 자녀 수는 2017년 1.76명에서 2019년 1.73명, 2021년 1.64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인다. 향후 출산을 책임질 주요 세대인 ‘90허우(90后·1990년대생)’ ‘00허우(00后·2000년대생)’의 희망 자녀 수는 이보다 더 적다. 각각 1.54명, 1.48명에 그친다. 저출산 위기는 단순한 인구문제를 넘어 경제성장의 근본적인 동력을 위협한다. 가장 직접적인 위협은 노동력 공급 감소와 생산성 증가율 둔화다. 장기적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사회보장제도의 지속 가능성 위기다. 고령화로 연금과 의료비 지출이 급증하며 사회보장 기금의 수지 악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7월 28일 저출산 대응을 위한 대규모 육아 지원 정책을 발표했다. 올해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에게 매년 3600위안(약 70만원)을 최장 3년간 지급하는 제도다. 중국 중앙정부가 전국적으로 육아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필자는 “저출산 문제에 직면한 일본이나 한국 등과는 달리, 중국은 여전히 가난한 나라”라면서 “청년 실업률을 역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경제성장 둔화가 계속되며 상황은 더 악화할 전망”이라고 진단한다.
/셔터스톡
/셔터스톡

오늘날 중국에 관한 뉴스는 대체로 지정학적 흐름, 특히 미·중 경쟁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14억 중국인은 이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훨씬 더 가까이에서 체감하는 문제에 몰두하고 있다. 가족의 축소다.

유교적 가치관은 수천 년 동안 가족을 사회질서와 조화를 유지하는 핵심으로 정의했다. 아들은 농장과 사업을 관리하며 노부모를 부양했다. 딸은 결혼을 통해 가족을 확장했다. 이렇게 형성된 대가족 네트워크는 학교 설립과 분쟁 해결 같은 중요한 경제·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 유럽에선 교회가 맡았을 법한 기능이다. 이런 경제·사회구조는 1950~70년대의 혼란 속에서도 유지됐다. 1949년 새로 들어선 공산당 정권(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람들에게 가족, 심지어 배우자와도 떨어져 기숙사에 살도록 권장한 바 있다. 자녀는 국영 보육원이나 기숙학교에 보내도록 장려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 가족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합계 출산율이 1963년 7.51명에서 2023년 1.0명으로 급감했다. 이러한 인구구조 붕괴는 중국의 경제·사회·정치 전반에 위험을 안긴다.

낸시 치안 미국  노스웨스턴대 경제학 교수 -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 박사, 현 미국  노스웨스턴대 중국경제연구소 디렉터, 전 하버드대 웨더헤드  국제관계센터 연구원
낸시 치안 미국 노스웨스턴대 경제학 교수 -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 박사, 현 미국 노스웨스턴대 중국경제연구소 디렉터, 전 하버드대 웨더헤드 국제관계센터 연구원

중국의 저출산 문제는 그 뿌리가 깊다. 1900년부터 19..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