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 출범 후 이제 2개월이 지났다. 집권 초기라는 점을 고려해도 대통령 지지율이 60% 내외를 기록하며 지금까지는 잘해 왔다는 평가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 경제의 명운이 걸렸다고도 할 수 있는 한미 통상 협상은 아쉬운 점도 있고 앞으로도 어떤 변화가 있을지 예단하기 어렵지만, 일본이나 유럽연합(EU) 등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 조직 개편과 내각 구성이 마무리되기 전에 시장의 신뢰를 흔들 수 있는 정책 혼선이 빚어지고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당장은 0%대 저성장 국면을 탈피하고, 중장기적으로 잠재성장률을 3%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과 배치되는 기업 규제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 주의할 점이다. 사용자 범위 및 근로 조건 확대, 노동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제한, 신원보증인 면책 등을 골자로 한 ‘노란 봉투법’은 물론 집중 투표제 도입과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추진하는 상법은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EU상공회의소가 한국 시장 철수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우려하고 있다. 투자와 고용 창출의 핵심 주체가 기업이라는 점을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