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 많은 한국, 최고 테스트베드, 규제 샌드박스 한시성은 과제, 로봇 상용화되면 수출 경쟁력↑

“한국 도심은 전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주행 환경이다. 좁은 골목, 불법 주정차 차량, 예측 불가능한 보행자 움직임까지, 로봇에 가장 어려운 과제가 집약돼 있다.”

자율주행 로봇 기업 뉴빌리티의 이상민 대표는 한국의 독특한 도시 환경이야말로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할 수 있는 최고의 테스트베드라고 강조했다. 뉴빌리티는 까다로운 환경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시험하기 위해 위성항법장치(GPS)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카메라 기반 비전 인공지능(AI) 기술을 발전시켰다.

규제 샌드박스를 계기로 운행안전인증을 취득한 자율주행 로봇들은 인도(보도)에서 합법적으로 주행이 가능해졌다. 다만 해외 주요국은 보조금 및 연구개발(R&D)을 전폭 지원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국가 차원의 지원이 현저히 부족하며 데이터 활용 규제에서도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이 대표는 “5년 내 한국이 도심형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 국가가 되길 희망한다”며 “한국형 난제를 극복한 경험이 곧 글로벌 수출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상민 뉴빌리티 대표-
연세대 천문우주학,
현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
전 LG전자 로봇 사업 자문위원,
전 연세대 미래형자동차 핵심기술
전문인력양성센터 운영위원,
전 연세대 우주비행제어연구실 개발팀장,
전 한국항공대 위성시스템 연구실 연구원 /사진 뉴빌리티
이상민 뉴빌리티 대표- 연세대 천문우주학, 현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 전 LG전자 로봇 사업 자문위원, 전 연세대 미래형자동차 핵심기술 전문인력양성센터 운영위원, 전 연세대 우주비행제어연구실 개발팀장, 전 한국항공대 위성시스템 연구실 연구원 /사진 뉴빌리티

한국만의 자율주행 로봇 기술 차별점은 무엇인가.

“한국은 전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도심 밀집도가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