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산업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해 전기차,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다양한 첨단산업에 필요한 기반까지 제공한다. 따라서 정부의 산업 정책은 성장을 지원하는 데 그치지 말고, 산업이 쇠퇴하거나 구조가 바뀔 때의 충격까지 함께 관리해야 한다.”
네이선 레인(Nathan Lane) 영국 옥스퍼드대 경제학 교수는 최근 인터뷰에서 석유화학 같은 기간산업을 관리하는 정부 책임에 대해 이렇게 강조했다. 레인 교수는 지난 5월 한국의 중화학공업 정책을 분석한 논문을 세계적 경제 학술지 ‘QJE(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에 싣는 등 한국 산업 정책과 동아시아 경제 발전 전문가로 통한다. 8월 20일 한국 정부가 석유화학 기업에 나프타분해시설(NCC) 설비 규모 25% 감축을 요구한 것에 대해 그는 “정부가 과감하게 결단하고, 더 큰 전략을 그리려는 모습을 보인 점은 고무적”이라면서도 “정부의 정책적 유인이 실제 기업의 구조조정과 통합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1970년대 한국은 다른 개발도상국보다 빠르게 중공업화를 이뤘다. 무엇이 이를 가능하게 했는가.
“세 가지 요인 덕..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