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환 -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서울대 화학 이학 석사, 코넬대 화학 이학 박사, 전 서강대 화학과 교수, 전 대한화학회 회장, 전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 /사진 이덕환
이덕환 -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서울대 화학 이학 석사, 코넬대 화학 이학 박사, 전 서강대 화학과 교수, 전 대한화학회 회장, 전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 /사진 이덕환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는 글로벌 과잉공급이 수년간 지속된 탓이다. 중국은 2014년 1950만t이던 에틸렌 생산 설비 규모를 2024년 5274만t으로 키웠다. 10년 새 중국에 증설된 설비만 해도 한국의 2024년 기준 연간 석유화학 생산능력(1270만t)의 2.6배에 달한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도 7개의 정유·석유화학 통합 공장을 2024년부터 순차 가동하고 있다. 7개 공장을 모두 가동하면 연간 1150만t의 에틸렌을 쏟아낸다.

정부와 업계는 8월 20일 만성 과잉공급에 처한 에틸렌 연간 생산량을 최대 370만t 줄이는 등의 구조조정 방안을 포함한 ‘석유화학 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 재편 자율 협약’을 맺었다. 기업은 해당 협약을 토대로 사업 재편 계획을 2025년 말까지 제출하고, 정부는 계획에 따른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그러나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계획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석유화학 구조조정은 민간 기업의 자발적인 빅딜이 우선이다. 정부는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를 통해 측면 지원해야 한다”라고 했다. 이 교수는 대한화학회 회장을 지냈고, 과학·환경·에너지 분야에서 320..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