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홍 - 타우메디칼 대표, 부산대 의대 학·석사·박사,
전 서울아산병원 전임의, 전 미국립보건원(NIH) 시니어리서치펠로, 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김준홍 타우메디칼 대표는 세계 최초로 카테터를 관상 정맥에 넣어 고주파로 두꺼워진 심장근육을 안전하게 태우는 시술 기구를 개발했다. /사진 타우메디칼
김준홍 - 타우메디칼 대표, 부산대 의대 학·석사·박사, 전 서울아산병원 전임의, 전 미국립보건원(NIH) 시니어리서치펠로, 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김준홍 타우메디칼 대표는 세계 최초로 카테터를 관상 정맥에 넣어 고주파로 두꺼워진 심장근육을 안전하게 태우는 시술 기구를 개발했다. /사진 타우메디칼

우리 몸의 엔진인 심장은 하루에 10만 번 이상 뛰며 7000L 넘는 혈액을 온몸에 보낸다. 그런데 500명 중 1명꼴로 심장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혈액순환이 막히는 질환이 생긴다. 유전성 희소 질환인 ‘비후성(비대형) 심근증’이다. 뚜렷한 이유 없이 숨이 차거나 가슴 통증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심장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다.

비후성 심근증은 두꺼워진 심실중격(심장을 좌우로 나누는 벽)을 절제하거나, 알코올로 녹이는 시술로 치료한다. 그러나 알코올이 정상 조직까지 퍼질 위험이 있고, 심실중격을 도려내는 외과 수술은 회복에만 한 달 이상 걸려 고령 환자에게 부담이 크다.

김준홍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타우메디칼을 세웠다. 김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고주파(RF)전류를 흘려 열을 내, 조직을 절제하는 방식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며 “관상 정맥을 통해 얇은 관인 카테터를 심실중격에 삽입하고, 고주파전류를 흘려보내 두꺼워진 근육을 안전하게 녹일 수 있다”고 말했다. 혈관 손상이나 혈전(핏덩이)이 생기는 부작용도 적다. 다음은 일문일답.

타우메디칼의 핵심 기술은 무엇인가.

“스루셉탈(thru-sep..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