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호주 연구진이 신경세포로 ‘퐁(PONG)’ 게임을 했다고 발표했다. 퐁은 화면 왼쪽에 있는 막대를 아래위로 움직여 공을 받아 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인간과 쥐의 뇌세포 80만 개를 전극 위에서 배양하면서 공의 위치 정보를 전기신호로 주고 그에 맞게 세포가 반응한 신호로 막대를 움직이도록 했다.
신경세포가 막대를 움직여 공을 맞히면 규칙적인 신호를 보내 보상하고, 놓치면 불규칙한 신호를 보내 벌을 줬다. 바로 구글 딥마인드가 이세돌 9단을 이긴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를 개발할 때 사용한 강화 학습법이다. 뇌세포는 강화 학습을 반복하면서 5분 만에 공을 제대로 받아 치며 랠리를 할 정도로 퐁 게임에 적응했다.
AI의 한계를 신경세포를 이용한 바이오 지능으로 극복하려는 연구가 태동하고 있다. 지난 7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AI 포 굿 서밋(AI for Good Summit)’ 행사에서 데이비드 그라시아스(David Gracias) 미국 존스홉킨스대 화학생물분자공학 교수는 퐁 게임을 진행한 뇌세포처럼 AI 역할을 하는 생체 컴퓨터 시스템인 ‘오가노이드 지능(Organ-oid Intellogence)’을 발표했다. 2017년 유엔(UN) 산..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