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물재생체험관에서 개최된 에코프랜즈 1기 발대식에서 참가 어린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서울물재생체험관에서 개최된 에코프랜즈 1기 발대식에서 참가 어린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물재생시설공단
a서울물재생시설공단(이하 공단)은 국내 하수 처리량의 11.5%를 담당하며 서울시 하수도 시설의 56%를 보유한 국내 최대 물 환경 전문 기관이다. 2023년 이사회 산하에 ESG 경영혁신위원회를 설치하며 ESG 경영을 본격화하고 있다. 
권완택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이사장
권완택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이사장
특히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위해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수립했으며, 연차별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고효율 설비 도입, 하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 가스 증산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이고 있다. 실제로 2024년에는 온실가스 배출을 16만7639CO₂(이산화탄소)t 줄여 2023년의 40.2% 수준으로 낮췄다.

공단은 법적 수질 배출 기준보다 강화된 자체 수질 기준을 적용해 환경 영향도 줄이고 있다. 또 재난 관리 국제 표준 ‘ISO 22301’ 을 도입해 비상시에도 하수 처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두 번째 지속 가능 경영 보고서를 발간하며 투명한 소통에도 힘쓰고 있고, 서남 센터 체험관을 통해 연간 5만 명 이상의 시민에게 물 재생 전시·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주민 합동 악취 점검을 정례화하고, 전광판으로 수치를 공개하고 있다. 권완택 이사장은 “친환경적이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물관리를 통해 ESG 선도 물 환경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김우영 기자
이코노미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