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와 코드 자동화 툴의 발전으로 공동 창업자 없이도 1인 창업자가 초기 MVP(고객이 쓸 수 있을 정도로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제품)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는 1인 창업자가 불필요하게 지분을 나누지 않고도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하며 추후 필요할 때 적합한 기술 인력을 영입하는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제품)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는 1인 창업자가 불필요하게 지분을 나누지 않고도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하며 추후 필요할 때 적합한 기술 인력을 영입하는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는 여전히 ‘1인 창업자’ 에 대한 편견이 있다. 투자자는 1인 창업자 기업보다는 공동 창업자(co-founder)가 있는 기업에 투자하기를 선호한다. 세계적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스타트업 육성 기관) 벤처캐피털(VC)도 이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다.
인도의 대표적인 스타트업 투자 VC ‘블룸벤처스’의 파트너인 사지스 파이(Sajith Pai)는 이를 “실리콘밸리의 가장 큰 편견”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최근 자신이 쓴 칼럼에서 1인 창업자 수가 2015년 스타트업의 17%에서 2024년 35%까지 늘어났다고 강조했다. 1인 창업자가 늘어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자금 조달은 여전히 더딘 이유가 바로 VC의 뿌리 깊은 편견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파이는 “여전히 80~90%의 VC가 1인 창업자에 대해 편견이 있다”고 진단한다.
그럼에도 그는 1인 창업이 결코 잘못된 선택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인공지능(AI)과 코드 자동화 도구 덕분에 기술 공동 창업자 없이도 초기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고, 필요할 때 적절한 인재를 영입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이는 “1인 창업자의 강점은 빠른 의사 결정과 단일한 방..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