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연구개발 효율화’ 아이템 발굴
오픈 소스 커뮤니티 평판이 도움
재택근무로 회사 운영비 최소화
신정규 래블업 대표 - 포스텍(포항공대) 물리학·컴퓨터공학, 포스텍 물리학 석·박사, 현 구글 개발자 전문가, 현 한국통신학회 이사, 전 미국 미시간대 의대 방문 연구원, 전 한양대 ERICA캠퍼스 소프트웨어학부 겸임 교수
신정규 래블업 대표 - 포스텍(포항공대) 물리학·컴퓨터공학, 포스텍 물리학 석·박사, 현 구글 개발자 전문가, 현 한국통신학회 이사, 전 미국 미시간대 의대 방문 연구원, 전 한양대 ERICA캠퍼스 소프트웨어학부 겸임 교수

“연구자가 겪는 불편을 해결해 보자는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인공지능(AI) 시대의 인프라 관리 운영체제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이어졌다.”

2015년 1인 기업으로 창업한 신정규 래블업(Lablup) 대표는 ‘AI 인프라’ 관리 플랫폼을 통해 기업과 연구소의 비용 절감과 효율화를 돕고 있다며 창업 배경을 이같이 소개했다. 그는 박사과정에서 연구하며 ‘AI 연구개발(R&D) 과정의 효율화’라는 사업 아이템을 정했고, 이후 오픈 소스 커뮤니티 인연을 통해 만난 전문가와 회사를 성장시켰다. 그는 창업 초기 합류한 이들을 공동 창업자로 불렀다. 

래블업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유일하게 엔비디아 AI 슈퍼컴퓨터 ‘DGX‘를 지원하는 운영 소프트웨어로 검증받은 기업이다. 지난해 매출 52억원, 창업 이후 누적 투자 126억원을 기록했다. 신 대표는 구글 개발자 전문가 출신으로, 현재 구글 스타트업 프로그램 멘토로도 활동 중이다.

신 대표는 1인 창업자가 어떻게 기술과 팀, 개방형 전략을 통해 생존과 성장을 모색할 수 있는지 이야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셔터스톡
/셔터스톡

1인 창업으로 래블업을 시작한 계기는.

“박사과정에서 연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