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설명│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17일(이하 현지시각) 4.25~4.50%였던 기준금리를 4.0~4.25%로 0.25%포인트 낮췄다.
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이날 발표한 점도표에 따르면, 위원 과반은 10월과 12월 정례 회의에서도 추가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26년에도 추가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 연준은 2024년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 5번 연속 동결했다. 9개월 만의 금리 인하로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금리 인하다. 2024년 9월 연준은 4년 반 만에 금리 인하를 재개한 뒤 12월까지 금리를 내렸으나 1월 20일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직전인 7월 FOMC 때까지 금리 동결을 결정한 바 있다.
연준은 FOMC 발표문에서 “최근 지표가 경제활동의 성장이 올해 상반기에 완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하게 요구한 ‘빅 컷(0.50%포인트 이상 큰 폭의 인하)’은 이뤄지지 않았다. 연준의 이날 금리 인하 결정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해 전날 취임한 스티븐 미란 신임 연준 이사(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겸임)도 참여했다. 미란 이사는 0.50%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 나머지 FOMC 위원은 0.25%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 7월에 이어 FOMC의 금리 결정 투표에서 두 차례 연속 만장일치가 나오지 않은 것이다.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 임명한 위원 두 명이 0.25%포인트 인하에 투표한 바 있다.
필자는 연준의 최근 금리 인하 결정은 노동시장과 물가 인상에 대한 잘못된 판단에 근거한 것이며,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가속해 결국 2026년에 금리를 다시 인상해야 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예상대로 연준은 기준금리를 4.0~4.25%로 낮췄다. 하지만 지나치게 ① 비둘기파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내년에 금리를 되돌려 올려야 하는 상황에 빠질 위험이 있다.
이번 통화 완화 사이클의 근거는 세 가지다. 첫째, 신규 고용 증가세가 둔화했다는 점이다. 지난 3개월 동안 신규 일자리는 월평균 2만9000개 증가에 그쳤고, 6월에는 오히려 줄었다. 둘째, 근원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이지만 목표치에 수렴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현재 금리와 연준이 추정하는 ② ‘중립 금리(성장을 억제하지 않는 수준·3%)’ 간 격차가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 판단 모두 빗나갔다.
고용 증가는 급작스러운 이민정책 변화로 해석하기가 어렵다. 인구 증가 속도와 맞추는 데 필요한 신규 일자리는 월 5만 개 미만일 가능성이 크다. 고용이 순감해야 노동시장이 인구 변화와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실업률은 이민 변화를 분자와 분모 모두에 반영하기 때문에 노동시장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다. 특히 고용 증가 수치만으로는 이민 변화를 해석하기 어려운 만큼, 실업률 의미가 더 커진다. 지난 8월 실업률은 4.3%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1년 새 고작 0.1%포인트 오르는..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