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성장이다. 그래서 2025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세 명이 고무적이다.”
데이비드 헨더슨 미국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연구원은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된 10월 13일(이하 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칼럼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지난 10년간 빈곤과 복지, 저개발 국가의 경제개발, 여성의 경제활동, 좋은 경제 제도 등 비(非)경제적 요인을 통한 경제성장 해법을 규명하는 연구에 높은 점수를 줬던 노벨상위원회가 이번에는 ‘혁신 주도 경제성장’에 주목한 것을 고무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스웨덴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이날 창조적 파괴를 통한 경제성장을 연구한 조엘 모키어(Joel Mokyr·79·네덜란드) 미 노스웨스턴대 교수, 필리프 아기옹(Philippe Agh-ion·69·프랑스) 프랑스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 피터 하윗(Peter Howitt·79·캐나다) 미 브라운대 교수 등 세 명을 2025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모키어 교수가 약 116만달러(약 17억원) 상금의 절반을, 아기옹 교수와 하윗 교수가 나머지 절반을 나눠 받는다. 노벨위원회는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 수 있는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