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와 가격으로 경쟁하기는 어렵다. 이를 극복할 차세대 기술이 필요하다. 과도하게 투자된 하이니켈(고비율 니켈) 삼원계(NCM·니켈, 코발트, 망간) 생산 라인을 에너지저장장치(ESS)나 LFP 제조 시설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과잉투자와 시장 수요 저조로 어려움에 빠진 한국 이차전지 산업에 대해 장정훈 삼성증권 수석 연구위원은 이렇게 진단했다.

한때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되던 한국 배터리 산업은 현재 큰 위기에 직면했다.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2021년 초 30% 이상이었으나, 2025년 상반기에는 16.5%까지 하락했다. 실적 역시 부진해 올 2분기 SK온은 664억원의 적자를, 삼성SDI는 397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국 배터리 기업은 승승장구하고 있다. CATL과 BYD는 2025년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37.9%, 17.8%를 각각 기록했으며, 두 회사 합산 점유율이 절반을 넘는 55.7%에 달했다. CATL은 올 2분기에만 전년 대비 34% 증가한 165억위안(약 15조506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장 수석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