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6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무용단의 환대를 받으며 춤을 추고 있다(큰 사진). 트럼프 대통령의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은 미국의 대(對)중국 견제 구상에서 아세안의 중요성이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이 희토류 등 전략자원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회의를 통해 ‘핵심 광물’ 공급망을 직접 챙겼다. 말레이시아에는 호주 기업 라이너스가 운영하는 중국 밖 최대 희토류 가공 시설이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트럼프 순방을 계기로 말레이시아가 미국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핵심 광물·희토류 부문 개발을 가속하며, 희토류 자석 판매를 제한하지 않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태국과도 핵심 광물 거래에 합의했다.
그 대가로 트럼프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의 관세 부담을 덜어줬다. 일례로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의약품 등 미국 수출 주력 상품에 ‘제로(0) 등급’ 관세를 확보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 8월 말레이시아 수출품에 19%의 높은 상호 관세를 부과한 바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