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할래가 유럽 현지에서 전통주를 알리기 위해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소주할래
소주할래가 유럽 현지에서 전통주를 알리기 위해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소주할래

흔히 ‘소주(Soju)’라고 하면, 외국인은 물론 한국인조차 초록 병에 담긴 희석식 소주를 먼저 떠올린다. 국내 주류 시장에서 증류식 소주가 차지하는 출고액 비중은 1% 남짓에 불과하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1965년 먹을 것이 부족하던 시절에 쌀로 술을 빚지 못하게 하는 양곡관리법이 시행되면서 증류식 소주는 위상을 잃었고, 주정에 물을 섞어 만든 희석식 소주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증류식 소주는 1990년대 전통주 허가제가 도입된 이후 부활했다. 전통 방식으로 빚은 증류식 소주는 사용하는 쌀의 품종이나 숙성 방식에 따라 과일 향, 오크 향 등 고유하고 다채로운 향이 있다. 이러한 매력에 반해 한국에서도 시장 규모가 작은 전통주를 유럽으로 유통하는 사람들이 있다. 독일 전통주 수입 업체 ‘소주할래(Soju Halle)’의 허영삼 대표가 대표적이다. 우리 전통주를 ‘쌀 와인’이라 부르는 허 대표를 최근 서면으로 인터뷰했다.

허영삼 소주할래 대표 - 부산대 고분자공학 석사, 전 네페스 전략기획 담당 상무 이사, 전 독일 바이오마그네틱파크 대표
허영삼 소주할래 대표 - 부산대 고분자공학 석사, 전 네페스 전략기획 담당 상무 이사, 전 독일 바이오마그네틱파크 대표

소주할래는 25년간 의료 기기 업계에 몸담았던 허 대표가 2023년 독일에서 세운 한국 전통주 전문 유통 업체다. 당시 함부르크의 한 의료 기기 스타트업에서 전문 경영인으로 일하던 그는 아들 친구가 한..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