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세포에서 타우 단백질이 엉킨 덩어리(녹색). 스위스 로슈는 혈중 타우 단백질을 찾아 인지 기능 저하자가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아님을 확인하는 혈액검사법을 개발했다. /미 국립 현미경 및 영상연구센터 (NCMIR)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세포에서 타우 단백질이 엉킨 덩어리(녹색). 스위스 로슈는 혈중 타우 단백질을 찾아 인지 기능 저하자가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아님을 확인하는 혈액검사법을 개발했다. /미 국립 현미경 및 영상연구센터 (NCMIR)

알츠하이머병은 치매 환자 3분의 2를 차지하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최근 치료제가 잇따라 출시돼 환자들에게 희망을 안겼지만,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 모두 초기 단계 환자에게 듣는 약인데 아직 조기 진단할 방법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기존 검사는 고가(高價)의 의료 영상 촬영을 하거나 뇌척수액을 추출하는 것처럼 환자에게 큰 불편을 줘 쉽게 하기 어려웠다.

앞으로 동네 병원에서 간단하게 혈액을 뽑아 알츠하이머 치매 검사를 할 수 있는 길이열렸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0월 13일(현지시각) 스위스 제약사 로슈와 미국 일라이 릴리가 공동 개발한 혈액검사인 ‘엘렉시스(Elecsys) pTau181(이하 엘렉시스)’을 1차 의료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검사로 허가했다고 밝혔다.

로슈는 이날 보도 자료에서 312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알츠하이머병을 97.9%의 정확도로 배제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 혈액검사가 FDA 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지난 5월 일본 바이오 기업 후지레비오(Fujirebio)도 알츠하이머병 혈액검사로 FDA 승인을 받았다. 이제 치매 혈액검사 시대가 열리는 것일까.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