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설명│
인공지능(AI) 붐으로 미국 증시가 최고치 경신을 이어가는 가운데 ‘AI 버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AI 버블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거품 가능성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면서 증폭됐다. 올트먼 CEO는 지난 8월 “투자자가 과도하게 흥분했느냐고? 내 의견은 ‘그렇다’이다”라며 “비이성적인 열광의 시기가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사회를 위한 가치는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생성 AI(Generative AI)에 투자한 기관 95%가 수익 면에서 여전히 아무런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서를 냈다. 불과 5%만 수백만달러의 가치를 냈다는 것이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10월 8일(이하 현지시각) “(AI 기업에 대한) 오늘날 가치 평가는 25년 전 인터넷 강세장에서 봤던 수준으로 향하고 있다”면서 “AI 낙관론이 시장을 촉진하고 세계경제를 지탱하는 데 도움 됐지만, 주가가 급락하면 세계 성장률이 하락하고 특히 개도국이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필자는 AI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먼저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진단한다.
AI는 실제로 경제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단지 빠른 성장을 장담하는 과장 광고에 불과한 것일까. 미국 주식시장은 분명 전자의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올해 S&P500 지수 상승분의 약 4분의 3이 AI 및 기술 기업 주식에서 나왔다. 벤처캐피털 투자자 또한 마찬가지로 확신을 보이는 듯 하다. 한 추정에 따르면, AI 분야에 올해 누적으로 2000억달러(약 288조원)가 투자됐다.
따라서 우리가 ① 1990년대 닷컴(.com) 붐을 연상시키는 또 다른 기술 버블을 목격하고 있는 것인지, 예전처럼 버블이 터져 주가를 폭락시킬지, 애널리스트가 점점 더 자주 묻는 것은 놀랍지 않다. 그러나 ② 케임브리지대 동료인 윌리엄 제인웨이가 지적하듯, 투기적 버블조차 장기 성장을 떠받치는 핵심 인프라와 혁신을 남길 수 있다.
AI가 이런 패턴을 반복한다면, 그 영향은 얼마나 강력할 것인가. 닷컴 붐은 몇 가지 유용한 교훈을 준다. 1990년 중후반, 디지털 기술은 미국의 생산성 성장률을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