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 순간 우리가 파산 직전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나는 그런 위기의식 속에서 회사를 이끌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7월 중국 국영 CCTV에 출연해 언급한 내용입니다. ‘우리 회사는 앞으로 30일 이내에 망할 수 있다’는 엔비디아의 모토를 떠올리게 합니다. 10월 29일(현지시각)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5조달러(약 7200조원)를 돌파한 엔비디아의 성공 뒤에는 언제든 망할 수 있는 위기의식으로 무장된 조직 문화가 있습니다.

이번 커버스토리 ‘몸값 5조달러, 세상에서 가장 비싼 기업 엔비디아’는 ‘AI라는 신대륙의 운영체제(OS)를 설계하는 기업’ ‘AI 골드러시 시대 삽을 파는 기업’ 등으로 평가받으며 기업 역사상 몸값이 가장 커진 엔비디아를 탐구합니다.

엔비디아의 성공 배경으로 ‘행운’을 꼽기도 합니다. 게임용 그래픽처리장치(GPU)나 만들던 기업이 2022년 11월 챗GPT가 촉발한 생성 AI(Generative AI) 혁명 덕에 칩 수요가 폭발해 질주하고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젠슨 황이 1993년 창업할 때 승부를 건 PC용 게임을 위한 3D 그래픽 카드 시장이나 2012년 AI 연산에 맞는 가속 컴퓨팅으로 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