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스톡
셔터스톡
퇴행성관절염은 나이에 상관없이 삶의 질을 빠르게 무너뜨리는 질환 중 하나다. 무릎은 우리 몸의 중심 관절로, 체중 대부분을 지탱하며 걷기·앉기·서기 등 모든 움직임의 출발점이다. 발목과 고관절이 균형을 이루며 몸을 지탱하지만, 한 부위에 이상이 생기면 연쇄적인 부담으로 이어진다. 무릎은 나이가 들수록 가장 큰 하중을 견디는 관절이다. 작은 손상만으로도 일상 전반에 큰 영향을 준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 앉았다가 일어설 때, 밤마다 통증으로 잠을 설치는 순간, 많은 이가 ‘인공관절 수술’을 떠올린다. 초기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주사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예전만큼의 효과를 느끼기 어렵다. 치료 후에도 통증이 빠르게 되돌아오고, 일상생활이 점점 불편해지는 시기가 찾아온다. 이 시점이 바로 치료 방향을 다시 고민해야 할 때라고 보면 된다. 단순히 ‘통증을 줄이는 치료’에서 ‘움직임을 되찾는 치료’로 전환이 필요하다.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 연세대 의대, 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정형외과 외래교수, 현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 연세대 의대, 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정형외과 외래교수, 현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일반적으로 인공관절 수술은 65세 전후를 적정 시기로 본다. 이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