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벌거숭이두더지쥐. /사진 셔터스톡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사는 포유류는 200세 이상 사는 북극고래(학명 Balaena mys-ticetus)다. 어떻게 북극고래는 그 추운 북극해에서 장수를 누리는 것일까. 과학자들이 그 비밀을 유전자에서 찾아냈다. 암(癌)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적고, 설사 돌연변이가 생긴다고 해도 바로 복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래 고장도 덜 나지만, 혹 망가지면 뚝딱뚝딱 고쳐가며 산다는 것이다.
미국 로체스터대 생물학과 베라 고르부노바(Vera Gorbunova) 교수, 안드레이 셀루아노프(Andrei Seluanov) 교수 부부와 알베르트아인슈타인의대 유전학과 얀 페이흐(Jan Vijg) 교수 공동 연구진은 “북극고래의 놀라울 정도로 긴 수명은 DNA 돌연변이를 복구하는 능력이 향상된 덕분임을 알아냈다”라고 10월 30일(이하 현지시각)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돌연변이 취약하나, 복구 능력 탁월
북극고래는 몸길이가 15~24m에 달하고, 몸무게는 80t을 넘는다. 지방 두께는 50㎝나 돼, 북극해의 차가운 얼음장 바다에서도 살 수 있다. 일반적으로 DNA 유전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돌연변이가 쌓이기 마련이다. 이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