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장률은 지난 2년간 미국에 비해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다. 이것이 원화 약세의 가장 큰 원인이다. 미·중 갈등 속 모든 상황이 외환 거래자로 하여금 한국과 원화에 대한 비관적인 입장을 갖게 하는 데 기여한다.”
배리 아이켄그린(Barry Eichengreen) 미국 UC 버클리 경제학 교수는 최근 서면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이 딜레마에 대한 쉬운 해결책은 없다. 그러나 한국의 정책 결정자는 그간 잘 대처해 왔다고 생각한다”라며 “한국은 방위 분담금 부담을 더 늘리고, 미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이라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하 트럼프)를 달래면서도, 동시에 다른 수출 시장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세계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DXY)는 통상 미국 금리와 함께 움직인다. 그런데 10월 29일(이하 현지시각)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자, 달러 인덱스가 상승(98.9→99.2)하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또 11월 5일 100.2를 기록, 강달러 흐름을 보였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주요국 중앙은행이 미국보다 금리를 빠르게 내리고 있어 달러 가치가 높아진 것”이라며 “또 미국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