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10월 31일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10월 31일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중·일 관계가 수교 53년 만에 최악의 갈등 국면을 맞고 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개입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시사하자, 중국은 즉각 외교적 대응에 나서며 사실상 ‘한일령(限日令)’에 돌입했다. 중국 정부는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중단 등 외교·경제 전반에 걸친 보복 조치를 본격화하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10월 31일 경주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정상회담을 열었지만, 홍콩 등 중국의 인권 문제와 (영유권 분쟁 지역인) 동중국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해 양국 관계의 긴장감을 드러냈다. 군사·안보 발언이 불붙인 중·일 갈등

이번 갈등의 도화선은 다카이시 총리의 11월 7일 발언이었다. 다카이치 총리는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일본의 현직 총리가 대만 문제에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밝힌 건 처음이다.

중국은 즉각 반격에 나섰다. 11월 8일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X(구 트위터)에 “멋대로 쳐들어온 그 더러운 목은 벨 수밖에 없다”는 극언을 올렸고, 중국 외교부는 “대만 문제에서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