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K-팝과 K-드라마가 세계를 휩쓸 때 우리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명제가 현실이 되는 짜릿한 순간을 목격했다. 외국인 팬은 물론, 국내 대중 역시 K-콘텐츠의 성공 요인을 장황히 설명할 인터뷰 준비는 돼 있을 것이다. 그런데 ‘K-HR(한국형 HR)’의 특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게 되면 어떨까. 아마 대다수 HR 전문가조차 잠시 머리가 하얗게 될지도 모른다. 

최근 굴지의 다국적기업 리더와 미국 MB-A(경영학 석사) 프로그램에서 한국 HR의 현황과 트렌드에 대한 특강 요청을 받았을 때 낯선 이방인 앞에서 필자는 한국 HR 필드가 글로벌 변화와 혁신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실험장이 된 동시에, 디지털 HR과 인공지능(AI)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역설적인 인사이트를 얻게 됐다. 

한준기 - 동명대 Busan International College 교수, 고려대·한국외국어대 경영학 박사, 전 IGM 세계경영연구원 전임교수, 전 성균관대 글로벌 MBA 스쿨 겸임교수, 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인사총괄임원
한준기 - 동명대 Busan International College 교수, 고려대·한국외국어대 경영학 박사, 전 IGM 세계경영연구원 전임교수, 전 성균관대 글로벌 MBA 스쿨 겸임교수, 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인사총괄임원

필자의 머릿속 K-HR의 이미지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 사태를 분기점으로 극명하게 나뉜다. IMF 이전의 HR은 다소 권위적이고 보수적이었지만, 비즈니스에 상당한 영향력과 발언권을 가진 ‘힘 있는 조직’이었다. 하지만 외환 위기 직격탄으로 한국의 인사 경영은 글로벌 표준에 통하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주 금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