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호별 보기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19.06.03
통권 302호
세계관으로 소비자 사로잡기
‘엑스맨: 다크 피닉스’ 감독·제작자 인터뷰
멤버십 가입
잡지 구매
세계관으로 소비자 사로잡기
Part 1. ‘엑스맨’ 시리즈로 본 세계관의 힘· [Interview] ‘엑스맨: 다크 피닉스’ 감독·각본 사이먼 킨버그· [Infographic] 영화 ‘엑스맨’ 시리즈의 모든 것· 세계관 공유하는 시리즈물의 경제효과· [Interview] ‘엑스맨: 다크 피닉스’ 허치 파커 프로듀서 Part 2...
302호_2019년 06월 01일
[Interview] ‘엑스맨: 다크 피닉스’ 감독·각본 사이먼 킨버그
“대중은 ‘살아보고 싶은’ 세계관에 열광한다”
인류학자 유발 하라리는 저서 ‘사피엔스’에서 “허구를 말할 수 있는 능력이야말로 호모 사피엔스가 사용하는 언어의 가장 독특한 측면”이라고 했다. 동물과 구분되는 호모 사피엔스만의 특징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라는..
302호_2019년 06월 01일
이민아 기자
Infographic
영화 ‘엑스맨’ 시리즈의 모든 것
302호_2019년 06월 01일
세계관 공유하는 시리즈물의 경제효과
멋진 캐릭터만 모으면 끝?…그 전에 ‘연결’부터 촘촘히
세계 콘텐츠 시장은 바야흐로 ‘시리즈물 전성시대’다. 그 중심에는 총 22편의 수퍼히어로 영화로 22조원 넘게 벌어들인 마블 스튜디오(이하 마블)와 드라마를 넘어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미드(미국 TV 드라마)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이 있다. ..
302호_2019년 06월 01일
이용성 차장
[Interview] ‘엑스맨: 다크 피닉스’ 허치 파커 프로듀서
“영화화? 원작의 겉모습 말고 주제·정신을 담으라”
“가능한 한 원작에 충실하게(Be as true as possible).” 영화 ‘엑스맨: 다크 피닉스(이하 다크 피닉스)’의 제작자인 허치 파커 프로듀서를 5월 2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만났다. 그에게 “만화가 원작인 작품을 영화로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302호_2019년 06월 01일
이민아 기자 , 최진영 인턴기자
[케이스스터디 1]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11년 만에 3조원 버는 영화 만든 마블 스튜디오
4월 24일 개봉한 마블 스튜디오의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이하 어벤져스4)’이 한국에서 1380만 관객을 모았다(5월 31일 기준). 국내에 개봉한 외국 영화 흥행 기록 역대 1위로, ‘아바타(2009년)’의 아성이 10년 만에 깨졌다. 1000만 관객은 개봉 11일 만에 달성했다...
302호_2019년 06월 01일
이민아 기자
[케이스스터디 2] 아이돌 세계관
방탄소년단, ‘성장’ 주제로 공감 얻어 세계 팬 끌어모아
남준(RM)은 구치소에 갇히고, 정국과 윤기(슈가)는 죽고, 태형(뷔)은 친부 살해 용의자가 됐다. 타임리프(시간여행) 능력이 있는 석진은 이들을 구하려고 애쓰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을 주인공으로 한 웹툰 ‘화양연화 Pt.0 SAVE ME’의..
302호_2019년 06월 01일
김은영 조선비즈 산업부 기자
[케이스스터디 3] AR게임 ‘포켓몬고’의 세계관
길고양이 대신 키운 피카츄…유년 시절 담은 세계관
1996년 ‘포켓몬스터’ 게임을 처음 만든 ‘포켓몬의 아버지’ 다지리 사토시(54)는 어릴 적 내성적인 성격으로 자연을 탐구하는 것을 좋아했다. 그는 방과 후 산과 들, 냇가와 방공호의 흔적을 찾아 홀로 쏘다녔다. 곤충 채집과 동식물 관찰, 도감 읽기를 좋아했다...
302호_2019년 06월 01일
김소희 기자
[케이스스터디 4] 원피스·나루토의 세계관
세상은 꿈꾸는 자의 것…용기를 내, 넌 할 수 있어
최첨단 기술이 수시로 태어나는 미국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공대(MIT). 대학 내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마틴 트러스트 기업가센터 입구엔 해적기가 걸려 있다. 이곳뿐 아니다. 상당수 미국 창업가들은 ‘해적의 정신’을 흠모한다. 그 배경엔 두 가지 뿌리가 있다. ..
302호_2019년 06월 01일
김신영 조선일보 경제부 기자
[케이스스터디 5] 게임의 세계관
게이머가 경험하고 싶어하는 세계를 만들어라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와 게임의 가장 큰 차이는 ‘캐릭터 역할의 유무’다. 게임 캐릭터는 스토리의 주인공일 뿐만 아니라, 게임 세계를 간접 경험하는 ‘매개체’다. 감정 이입 대상의 역할만 수행하는 다른 콘텐츠의 캐릭터와는 기능적으로 다르다. ..
302호_2019년 06월 01일
이진희 놈게임스토리 대표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