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기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신흥 시장 지수(MSCI EM)에서 한국의 비중은 9.14%로 10년 전인 2014년(15.41%) 대비 6.27%포인트 하락했다. 2014년 12.91%였던 대만의 비중이 19.07%까지 올라간 것과 대비된다. 2014년 연평균 8752였던 대만의 가권 지수가 2024년 1만7565로 두 배 껑충 뛴 반면,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1963에서 2565로 30% 상승한 데 그친 탓이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등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탈출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2024년 증시 밸류업(value up·가치 제고) 정책을 추진했지만, 성과는 미미하다. 밸류업 지표인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월 24일 기준 0.93배로 2024년 2월(0.96배)보다 후퇴했다.
전 세계 780조원가량 자산을 운용하는 네덜란드 연기금 네덜란드연금자산운용(APG)의 신흥 시장 주식 부문장을 맡고 있는 박유경 전무는 3월 26일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의 밸류업 정책은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요인에 대한 심도 깊은 성찰과 해소 방법에 대한 고민 없이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박 전무는 “한국의 벨류에이션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배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